3월 11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을 하고, 3월 22일 미연준 금리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향후 미연준은 계속 금리를 올릴 수 있을까요? 저는 쉽지 않아 보이는데 그 이유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유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한 가장 큰 이유는 미연준의 급격한 금리상승 때문입니다.
🔻 SVB 은행의 파산이유 더 궁금하시면 🔻
앞선 글에서 실리콘밸리은행(SVB)의 유동성 자금 부족에 따른 대안으로 미국 국채를 중도에 매도하여 자금을 마련하거나, 신주 조달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려 했으나, 은행 불안으로 뱅크런이 일어나며 파산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결국은 미국 금리 상승이 자금수요 증가와 신용경색으로 맞물리며 일어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의 중요한 시사점
미국의 경제체력 한계 드러나
미국이 22년 초부터 현재까지 금리를 단기간에 급격하게 올리는 동안(1년만에 0~0.25% → 4.5~4.75%) 물밑에서 드러나지 않던 금융체력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바닥을 드러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에는 금리상승으로 금융권인 은행에서 먼저 부실화가 튀어나온 것이죠.
앞으로 금융불안은 계속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예금 보호를 받지 못하는 금액이 1천515억 달러(약 200조 4천345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미국 내 예금고객 불안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예금고객의 불안감은 다시 뱅크런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비단 금리상승으로 인한 채권가격 하락이 실리콘밸리은행(SVB) 뿐이겠습니까? 비슷한 자산구조를 가지고 있는 미국은행들의 상황이 비슷할 것이고, 결국은 자본력에 따라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
실리콘밸리은행(SVB) 마지막 파산 선고도 예금고객의 뱅크런에 의해 발생한 만큼 향후 미국 은행을 포함한 금융권의 신뢰가 무너지는 순간 걷잡을 수 없이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 연준의 금리결정 고민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이 터진 이후 바이든 대통령이 2월 CPI를 언급하며 '지표결과가 괜찮다'고 선공개 발언을 했는데요. 결국 2월 CPI가 기대치 만큼 물가가 떨어지는 결과가 나왔으니, 실리콘밸리은행(SVB) 터졌지만, 물가는 잡혀가니깐 금리 상승이 더 없을 거야 안심해라고 얘기하는 거 같습니다.
🔻 미 인플레이션 하락 예상 기사 🔻
바이든이 급하긴 급했던 모양 같은데요. 그만큼 미 재무부에서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파급력이 크지않다고 얘기하고 있지만, 물밑에서는 상당히 우려하는 눈치 같습니다. 아니면 바이든이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겠지요. 현지시각 14일 CPI 발표를 지켜볼 필요가 있을 거 같습니다.
견조한 미 실업률
미연준이 금리결정시 마다 언급하는 것이 실업률인데요. 3월 10일에 발표된 실업률은 예상치 3.4%, 실적 3.6%로 예상치보다는 상승했지만, 실업률 3%대로 여전히 고용이 견고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 고용은 조금씩 타격을 받고 있는데, 서비스업 고용이 견조하여 전체 고용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미국 3월 10일 실업률 지표 🔻
지금까지 미연준의 논리는 물가가 잡히는 것이 더디고, 미 고용시장이 좋은 만큼 미국 금리를 계속 올리겠다는 논리였습니다. 그래서 1월 CPI 발표 때도 기대치 보다 높게 나오면서 25bp 인상에서 50bp 인상으로 급격하게 무게가 실리는 듯 보였습니다.
그럼 앞으로의 금리결정
시장에서는 미연준이 지금 현재의 미국 금융시장의 신뢰성과 체력을 고려했을 때, 더 이상 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3월 22일 미연준 금리 결정과 관련하여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이 터져 나오기 전까지 25bp 인상 31.7%에 비해 50bp 인상 68.3%로 우세하였으나, 파산 소식 이후 25bp 인상 62%로 50bp 인상 38%에 비해 25bp 인상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연준이 SVB 사태로 연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는데요. 그만큼 연준 금리계획이 불투명해진 상황입니다. 금융기관 체력이 바닥을 드러낸 상황에서 SVB 사태가 점점 확대되거나 SVB 같은 파산 은행이 추가로 나올 경우에는 금융시장 신뢰 회복을 위해서 금리 상승 기조를 계속 유지하기보다는 선회할 가능성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미국 물가지표가 하락하는 추세 기조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한데, 최근 상황이 경기 침체 신호와 맞물릴 수 있어 물가 하락을 견인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확실한 것은 이제부터는 미연준이 단순히 금리상승 기조로만 갈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향후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장이 얼마나 확대될지, 이 여파로 미 재무부 정책변화, 미 연준의 금리정책의 변화 포인트들을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
'금융 > 은행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유, 전망 쉽게 설명드립니다 (0) | 2023.03.12 |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별 기여금, 만기금액 예상 안내 (0) | 2023.03.09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기간, 자격 알아보기 (0) | 2023.03.09 |
10% 정기적금 - 신협 신한카드 연계 플러스정기적금 (0) | 2023.03.08 |
농협 적금 금리 비교 - 최고 BEST 추천 (23년2월) (0) | 202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