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8

연말정산 연금저축, 퇴직연금(IRP) 세액공제!!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IRP, DC)의 연금계좌 납입액에 대해서 12% 또는 1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요. 그럼 연말정산 연금계좌 세액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금계좌 세액공제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연금계좌에 납입한 금액의 12% 또는 15%에 해당하는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의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 세액공제대상 연금계좌 납입액 구 분 가입계좌 연금저축계좌 금융회사 등과 체결한 계약에 따라 “연금저축”이라는 명칭으로 설정하는 계좌 (2013.1.1. 전에 가입한 연금저축 포함) 퇴직연금계좌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DC형)와 개인형퇴직연금제도(IRP) 또는 「과학기술인공제회법」에 따라 퇴직연금을 지급받기 위해 설정하는 계좌 (확정기여형퇴직연금 사용자부담금은 제외) ※ 개인종합자산관리계.. 2022. 12. 30.
연말정산 자녀 세액공제 - 7세이상, 올해 출산시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공제대상자인 자녀 중 7세 이상이거나 올해 과세연도에 출생신고한 자녀의 경우에 자녀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요. 그럼 연말정산 시 자녀세액공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녀세액공제 기본공제대상 자녀(입양자 및 위탁아동 포함) 중 7세 이상에 대해서 아래의 금액을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손자⋅손녀는 대상 아님) 하고, 올해(2022년) 출산(출생)신고, 입양신고시에도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공제대상자녀 자녀의 수 세액공제금액 1명 연 15만원 2명 연 30만원 3명 이상 연 30만원 + 2명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 *3명:60만원, 4명:90만원, 5명:120만원 올해(2022년) 출산, 입양 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이상 70만 원 ※ 다만, 자녀장려금 수급자는 자녀세액공.. 2022. 12. 29.
연말정산 근로소득 세액공제 계산방법 및 한도!! 미리 확인하세요 근로소득금액 및 산출세액 금액에 따라 근로소득 세액공제를 계산하게 되는데요. 그럼 연말정산 시 근로소득에 대한 세액공제금액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소득세액공제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근로소득세액공제 금액을 차감합니다. 세액공제 금액 계산 산출세액 세액공제금액 산출세액 130만원 이하 산출세액의 55% 산출세액 130만원 초과 71만5천원 + 130만원 초과금액의 30% 세액공제 금액 한도 총급여액 세액공제 금액 한도 3천300만원 이하 74만원 3천300만원 초과 ~ 7천만원 이하 74만원 - [(총급여액 - 3천300만원) × 0.008] 다만, 위 금액이 66만원보다 적은 경우에는 66만원 7천만원 초과 66만원 - [(총급여액 - 7천만원) × 1/2] 다만, 위 금액이 .. 2022. 12. 29.
연말정산 중소기업 취업자(청년, 경력단절여성) 세금(세액) 감면 가능합니다 중소기업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60세 이상, 장애인, 경력단절여성은 세금(세액) 감면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럼 연말정산 중소기업 취업자 세금(세액) 감면 조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근로계약 체결일 ①현재 연령이 15세 이상 34세 이하(병역근무기간 제외:한도 6년)인 청년, ②60세 이상, ③장애인, ④경력단절여성이 중소기업에 ’ 12.1.1.(6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14.1.1., 경력단절여성 ’ 17.1.1.) 〜 ’ 22.12.31. 까지 취업하는 경우 중소기업체에서 받는 근로소득세를 취업일부터 3년간 청년 90%, 그 외 70%(50%, 100%) 세금(세액) 감면합니다. 취업시기 감면대상 감면율 감면기간 감면한도 ‘18년 이후 청년 소득세.. 2022. 12. 29.
반응형